노후화된 산단은 스마트산단으로 탈바꿈해야
지난 10여년간 개발호재 없었던 것 반성필요
대기업을 만들고 차별화된 안산일 때 가능

안산시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기획시리즈 오늘은 그 세 번째로 관광, 주택, 산업, 교육, 정주의식 중 ‘산업’문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안산스마트허브(옛 반월공단)가 설립되기 전 안산은 당시 기업 하나 없는 농어촌 중심의 생활상으로 주로 벼농사와 밭농사가 중심이었으며 사리포구를 중심으로 일부는 어업에 종사하기도 했다. 안산스마트허브는 1977년 3월 30일 반월신도시 기공식을 시작으로 1978년 3월에 1차로 48만7천평을 조성했고 이듬해인 1979년에는 60개 기업이 58억원을 생산했다.

당시에는 수도 서울 변두리에 위치한 영세하며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기업들이 이전했다.

노동집약적이고 단순조립공정 중심이 대부분인 이유다. 그러다가 1985년 말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업종은 조립금속기계업종으로 952개사 중에 396개사(42%)나 차지했다.

안산시는 그 다음해인 1986년 반월충장소에서 시로 승격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79년 4,087명으로 출발한 반월공단 고용은 1989년 9만 544명까지 증가했으며 2014년 20만 5,234명을 정점으로 지난 2018년 6월 통계에서는 16만 1,071명으로 2011년 수준의 고용인원대를 보이고 있다. 인구도 변동폭이 컸다. 1979년 2만 1,162명이던 인구는 1989년 20만명으로 늘었고 2014년에는 76만명까지 늘었다.

이후 기업들의 해외 및 지방이전과 공장자동화에 따른 고용인원 축소 등 고용시장이 위축되면서 인구가 줄어 현재는 등록외국인을 포함해 70만명을 겨우 넘기고 있다.

내국인은 65만명에 머무르고 있고 재건축시장이 마무리되면서 입주세대가 늘고 있지만 현재도 매월 수백명씩 안산시 인구는 감소추세다. 그럼 안산시를 살리고 인구유입을 통한 안산시 인구증가를 위해 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여전히 숙제다. 

인구를 유입시키기 위해 안산지역경제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업종변경이나 융합을 통해 사업의 전환 또는 기술, 제품융합을 통해 성장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동안 시는 안산스마트허브에 대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안산스마트허브는 높아진 지가상승을 이유로 산업환경변화로까지 이어져 전체 기업의 60%인 4,236개 업체가 임차로 운영중에 있으며 지방이전과 휴・폐업부지증가에 따른 산단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기업 유치가 힘들면 안산스마트허브에서 대기업을 꿈꾸는 기업이 있을 경우 그 기업을 대기업으로 만들어 주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견 강소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공장부지가 필요하다면 시가 적극 나서서 지원하는 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 대기업이 만들어지면 1~2차 밴드가 늘어나거나 하청업체들이 안산으로 유입하게 되고 그 결과로 안산스마트허브 임차공장은 주인이 있는 공장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시가 수인선의 사리역과 서해선의 원곡역 역명 변경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청년들을 유입할 수 있는 좋은 호재거리라는 데서 주목을 받는 시책이다.

젊은이들은 역명이 젊은 친화형으로 바뀔 때 역명을 중심으로 몰려드는 경향이 분명하다. 이와 함께 청년 창업 인큐베이팅 사업에도 기대를 걸 수 있다. 창업 아이템을 가지고 창업해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청년이 청년큐브 3개소에 50실을 운영중이다.

한양캠프(한양대 앞), 예대캠프(서울예대 앞), 초지캠프(초지동 신명트윈타워)가 있고 사업비는  2019년도 14억 5천만원이다.

청년층의 창업활동은 곧 인구유입 효과로 이어질 수 있고 100곳중 1~2개만 성공해도 한국의 마크 저커버그가 탄생하는 것이고 빌 게이츠가 만들어진다는 과감한 발상이다.

젊은이에게 투자하는 것은 아깝다고 생각하지 말고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이유다.

시는 강소기업과 뿌리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TF팀을 조직했고 종합계획을 수립중이다. 지난 1월 강소특구 신청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했는데 오는 6월 중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강조특구로 지정되면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사업화 지원을 위한 국비지원과 연구인력 유입으로 고도화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인구증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안산의 인구가 줄고 있는 것은 지난 10여년 동안 특별한 개발호재가 없었고 대규모 입주업체가 지방으로 이전해 근무처와 접근성이 좋은 주거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안산지역 공단의 생산액과 고용인원이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상업통상자원부에서 지난 2월20일 반월・시화 국가산단을 스마트선도 산단으로 지정해 제조중심 공단의 환경을 혁신화 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화 모델 개발, 청년층 고급인력 양성화 사업으로 미래형 산단, 청년층이 다시 찾아 올 수 있는 활기찬 공단조성 모델화 착수가 가능해졌다.

안산스마트허브 재생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염색단지와 서해선 일원 안산스마트허브 39%지역에 468억원을 투입, 유치업종의 첨단화에 도전하고 있다.

다른 사람이 하는 것을 하면 달라지는 것이 없다. 마찬가지로 다른 도시가 하는 것을 하는 것도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안산시 확장을 위해서는 다른 도시에서 하지 않는 특별한 것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산에 대기업을 만들고 청년창업가를 지원해 마크 저커버그와 빌 게이츠를 꿈꾸도록 하는데 시와 주변 관계자들이 노력해야 한다. 그 길이 바로 안산이 사는 길이기 때문이다.

 

안산시 인구가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시가 속속 내놓고 있는 인구 정책을 비웃기라도 하듯 올 해만 벌써 1천461명의 인구가 줄어들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9년 3월 안산시 인구는 65만8천882명으로 지난달에 비해 496명이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안산은 65개월 연속 인구가 줄어들며 66만6천명을 상회했던 지난 2004년의 인구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도권 중소도시라고는 믿기지 않는 인구 감소 행보를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구별로 살펴보면, 상록구는 지난달보다 554명이 줄어든 35만4천145명을 기록했으며, 단원구는 지난달에 비해 58명이 증가해 30만4천737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산과 인접한 도시들의 인구 증가세는 안산의 인구 정체 심각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화성시의 3월 인구는 지난달에 비해 4천859명이 증가해 77만5천958명을 기록했으며, 시흥시 역시 지난달에 비해 2천810명이 늘어난 45만7천610명의 인구수를 보였다.

화성시는 올 해 들어 3개월 간 무려 1만7천236명이 증가했으며, 시흥시 또한 8천923명이 증가하는 등 안산시와 강한 대비를 이뤘다.

당분간 이같은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반등의 여지 없는 안산의 인구 추이는 수도권 서해안의 중심도시를 자처하던 안산의 위상에도 큰 타격을 줄 것이라는 중론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안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